본문 바로가기

IT소식

사이버 공격이 일상인 시대, 숙제는 세 가지

>>> 기사전문보기

보안의 기본기는 세 가지 : 약화, 대응, 해결
기본기 혼자서 다 지키기 어려워...‘우리’가 궁극의 답

 

공격 가능성 약화
공격자들이 회사까지 차려가며 끊임없이 노리는 우리의 디지털 자산을 어떻게 보호해야 할까? 이에 대한 설명은 이미 수많은 문건으로 전수되고 있다. 사용자를 위한 실천사항부터 보안 담당자들을 위한 기본 수칙까지, 다양한 시각, 다양한 내용의 자료들이 셀 수 없을 만큼 존재한다. 예를 들면 디폴트 비밀번호나 사용자 이름을 사용하지 말라는 것. 왜냐하면 이런 기본적인 취약점을 찾아내려고 해커들은 눈에 불을 켜고 있기 때문이다.

사용하지 않는 서비스나 프로토콜 역시 꺼두거나 없애야 한다. 그런 사각지대를 통해 공격이 들어올 가능성도 분명히 존재하기 때문이다. 또 뭐가 있을까?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비와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모두 목록화하고 이를 항상 최신화하는 것도 기본이다. 그러면서 펌웨어 업데이트를 하는 것 역시 필수다. 그래야 공격자들 편에서도 자신들의 공격 방법이나 툴을 업그레이드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이는 시간 지연으로 이어지고, 따라서 위험이 약화되거나 무력화된다.

공격에 대응
공격 가능성을 낮추고 위험성을 약화시킨다고 해서 사건이 안 일어나는 건 아니다. 뭔가 일이 발생했거나 이벤트가 탐지되었을 때, 감염의 확산을 최대한 막는 것이 ‘약화’ 이후에 할 일이다. 공격을 발견했을 때 가장 먼저 할 일은 해당 솔루션이나 장비의 제조사나 공급 업체가 이 공격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지, 방어 방법을 알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해당 공격을 가능케 한 취약점에 대해서는 직접 만든 사람들이 가장 잘 알고 있을 확률이 높다. 심지어 그 취약점을 미리 파악하고 패치를 개발 중에 있을 가능성도 있다.

연락이 닿지 않는다면 매뉴얼이나 웹사이트 내 사용설명서 등을 참조해 가장 적합한 조치를 취하는 게 좋다. 사이버 공격이 발생했을 때 기업이 취할 수 있는 대응책이란 응급조치에 가깝다는 것을 기억하라. 이 단계에서 수술을 해서 완치시키는 게 목적이 아니다.

문제의 해결
응급조치를 취해서 급한 누수나 유출을 막았다면 이러한 공격이 두 번 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꾀해야 한다. 여기에는 다양한 가능성이 있는데, 백신 옵션을 ‘업데이트 자동’으로 바꿔놓는다거나, 방화벽 정책을 좀 더 엄격하게 강화시킨다거나, 원격 접근을 아예 원천적으로 불가능하게 만들어 놓거나, 특정 인증서로 누릴 수 있는 권한 수준을 조정하거나 해야 한다.

하지만 이것이 끝은 아니다. 왜냐하면 앞서 말했지만 사이버 공격의 중류는 무궁무진하기 때문이다. 지금 이 문제를 잘 해결했다고 해서, 바로 다음 날, 아니 바로 지금 이 순간 다른 공격까지 자동으로 막아지지는 않는다. 그러니 다시 첫 단계인 ‘약화’로 돌아가 공격 이전에 하던 대로 리스크를 약화시켜야 한다. 보안은 이 세 가지 단계의 순환작업이기도 하다. 이 단계에서는 이걸 기억하고 다시 ‘예방 조치’로 태세 변환하는 것이 중요하다.

소비자가 기억해야 할 것
이 3단계 순환 조치를 생각했을 때 기억해야 할 것이 하나 있다. 애초에 보안 툴이나 장비를 구입할 때 트러블슈팅이나 설명서, A/S가 잘 안내되어 있는 회사의 것을 사용하는 게 보안을 위해 나은 선택이라는 것이다. 그동안 발견해 온 취약점과 그에 대한 패치를 어떤 식으로 진행했는지 파악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100% 안전하다고 광고하는 곳은 오히려 위험하다. 그런 시스템이나 솔루션은 장담컨대 하나도 없다.

 

출처 : 보안뉴스 Boannews

 

 

 

반응형